요즘 청년 여러분, 생활비 고민 많으시죠? 경기도에서는 청년들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 '청년기본소득'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마치 용돈처럼 매 분기마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건데요, 2025년에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청년기본소득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
청년기본소득,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 살고 있는 만 24세 청년들이 대상입니다. 다만, 몇 가지 조건이 있어요. 신청하는 날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고, 경기도에 3년 이상 계속 살았거나, 아니면 살았던 기간을 모두 합쳐서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.
잠깐! 중요한 변화가 있어요!
성남시는 조례가 없어졌고, 고양시는 시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서 2025년 청년기본소득 사업을 진행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신청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초본상 주소지가 성남시나 고양시로 되어 있는 분들은 아쉽게도 이번 청년기본소득을 받을 수 없습니다. 신청 전에 꼭 주소지를 확인해주세요!
얼마나,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?
선정된 분들에게는 1인당 분기별로 25만 원씩, 1년 동안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해줍니다. 이 돈은 경기도 지역화폐로 받을 수 있어요.
혹시 기초생활수급자이신 분들은 좀 다르게, 전체 지원금을 한 번에 받을 수도 있습니다. (이 경우 수급자 증명서를 꼭 내셔야 해요.)
지역화폐 사용 시 유의할 점!
- 지급받은 지역화폐는 3년 안에 사용해야 합니다. 3년이 지나면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없어지니 꼭 기간 안에 쓰세요! (단, 시흥, 군포, 과천시는 5년 동안 유효합니다.)
- 지역화폐는 주민등록 초본상의 주소지 시·군 안에 있는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대부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특별히, 학원 수강료나 시험 응시료는 경기도 내는 물론, 온라인에서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. (온라인 사용처는 9월 10일 이후에 공지될 예정입니다.)
- 지역화폐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경기도 지역화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025년 지급 기준 및 일정 확인!
2025년 청년기본소득은 분기별로 신청을 받습니다. 아래 표를 보시고 본인이 해당하는 분기와 신청 기간을 잘 확인해주세요. (일정은 상황에 따라 조금 변동될 수도 있습니다.)
분기 | 연령 기준일 | 지급 대상자 생년월일 | 신청 기간 | 심사ㆍ선정 기간 | 지급 개시일 |
---|---|---|---|---|---|
1분기 | 2025.01.01. | 2000.01.02. ~ 2000.12.31. | 2025.03.01. ~ 2025.03.31. | 2025.03.05. ~ 2025.04.10. | 2025.04.20. |
2분기 | 2025.04.01. | 2000.04.02. ~ 2000.12.31. | 2025.05.01. ~ 2025.05.30. | 2025.05.07. ~ 2025.06.10. | 2025.06.20. |
3분기 | 2025.07.01. | 2000.07.02. ~ 2001.07.01. | 2025.07.01. ~ 2025.08.11. | 2025.07.04. ~ 2025.08.29. | 2025.09.10. |
4분기 | 2025.10.01. | 2000.10.02. ~ 2001.10.01. | 2025.10.15. ~ 2025.11.24. | 2025.10.20. ~ 2025.12.10. | 2025.12.20. |
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신청은 경기도 일자리재단 온라인 플랫폼인 '잡아바' 홈페이지(http://apply.jobaba.net)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합니다. 각 분기 신청 기간 첫날 오전 9시부터 마지막 날 오후 6시까지 신청할 수 있으니 시간을 잘 지켜주세요.
필요한 서류는?
- 신청서
- 주민등록초본 (신청 기간 안에 발급받은 것)
*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동의하면 주민등록초본은 자동으로 제출됩니다.
-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(해당하는 경우만)
* 신청일 현재 발급된 서류여야 하고, 발생일·신고일·변동 사유, 최근 5년(3년 이상 계속 거주인 경우) 또는 전체(합산 10년 이상 거주인 경우) 주소 변동 이력,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까지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.
궁금한 점이 있다면?
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경기도 콜센터(031-120)나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콜센터(1877-0566)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 사업 선정 등 자세한 내용은 본인의 주소지 시·군청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